반응형
연사 소개

- 저스틴 스카폰은 30년 이상의 리더십 경험을 가진 전략 및 운영 전문가입니다.
현재 그는 SEGA의 글로벌 트랜스미디어 그룹을 이끌며, 선형 스토리텔링(영화, TV, 스트리밍), 소비자 제품, 장소 기반 엔터테인먼트, 라이브 쇼의 모든 측면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저스틴 스카폰은 SEGA에 합류하기 전,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적이고 재정적인 성공을 쌓아왔습니다.
그의 경력에는 Disney와 Scopely에서 게임 및 모바일 산업의 제작, 마케팅, 판매를 감독한 경험이 포함되어 있으며, Walt Disney Company의 일본 소비자 제품 사업을 관리한 경력도 있습니다.
또한 그는 여러 비즈니스 전략 및 개발 직책을 맡았고, 웹3.0부터 음악, 소비자 제품, 게임 등 다양한 산업의 포트폴리오 기업에 대해 자문과 투자를 해왔습니다.
세션개요
'트랜스미디어'라는 용어가 최근 몇 년간 인기를 얻었지만, 이 개념은 결코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월트 디즈니를 비롯한 업계의 선구자들은 수 세대에 걸쳐 그들만의 트랜스미디어 버전을 개발하고, 정제하고, 적용해 왔습니다.
저스틴 스카폰은 발표에서 디즈니(및 다른 기업들)가 적용해 온 일부 원칙들을 공유하고, 세가의 현재 접근 방식이 어떻게 브랜드를 높이고 전 세계의 상당한 규모의 팬 커뮤니티를 매료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 있는지 논의할 것입니다.
세션내용


- 디즈니는 언제나 영화를 통해 새로운 캐릭터나 이야기를 선보였다.
- 디즈니, 픽사, 마블, 스타워즈 등 어떤 브랜드에도 예외는 없다.
- 이렇게 영화를 기반으로 시작한 캐릭터와 이야기는 다양한 형태의 상품으로 파생된다.
- 영화 음악 음반이 발매되고, 콘서트가 개최된다.
- 책을 출판한다.
- 게임을 출시한다.
- 모든 프랜차이즈가 테마파크로 모여 어트랙션으로 구현된다.
- 이 그림은 1957년에 월트 디즈니 본인이 직접 그린 그림이다.
- 사람들은 이런 형태의 트랜스미디어가 근래의 새로운 개념이라고 생각하지만, 아주 오래되고 전통적인 방식이다.
- 이 구조는 Content Flywheel 이라고 불린다.
- 월트 디즈니는 Flywheel의 중심이 CREATIVE TALENT of STUDIO THEATRICAL FILMS (영화 스튜디오의 창의적 재능)이라고 생각했다.
- 그러나 월트 디즈니가 간과했던 단 하나의 상품, 바로 게임이다. 물론 1957년의 월트 디즈니는 2024년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게임 산업이 지배할 것이라고 상상조차 할 수 없었을 것.

- 어쨌든 영화를 통한 데뷔가 중심이었던 월트 디즈니와 달리, 세가의 중심은 게임이다.
- Lego와 IP 라이선스에 대해 협력하여 제품을 개발하고
- McDonald’s 와 브랜드 캠페인을 진행하고
- Paramount, Netflix, Amazon과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
- TikTok, Instagram, Roblox에서 콘텐츠를 제작하며
- Fall Guys, Minecraft 같은 다른 IP와 콜라보도 진행한다.
- 디즈니의 방식과 유사하지만 방식은 많이 다르다. Flywheel의 중심이 다르기 때문에.
- 트랜스미디어 비즈니스의 핵심은 “장기적 비전을 공유하는 계획”과 “Cross-functional Team”이라고 생각한다.
코멘트
- 후반부의 주제가 <세가의 광범위한 IP 포트폴리오>로 진행된 점이 좀 아쉬웠다. 세가의 브랜드 파워를 알리는 데에는 좋았겠지만, 뭔가 더 좋은 꿀팁을 얻고 싶었던 우리에게는 글쎄요?
- 최근 콘텐츠 콘텐더로서 게임, 만화의 위상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잘 만든 게임이 애니메이션이 되고 드라마가 되고 OSMU의 원천이 된다는 것을 사람들이 인식하기 시작했는데, 어쨌든 우리가 IP 홀더의 입장에 있을 때, 무엇을 신경써야하는지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듯.
반응형
'SkaDi >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G-CON 2024] 산나비 포스트모템 : 패기, 로망, 그리고 영수증들 (4) | 2025.03.20 |
---|---|
[G-CON 2024] 다면적 감성 가치에 대한 요구 — 급변하는 환경에서 진화하는 플레이어들의 니즈 충족하기 (5) | 2025.03.19 |
[G-CON 2024] 재도약의 여정 - 사이버펑크 2077 개선을 위한 CD 프로젝트 레드의 기술 지원 데이터와 인사이트 활용 방법 (3) | 2025.03.17 |
[G-CON 2024] 소울라이크 장르 열풍에 관하여 논하다 (1) | 2025.03.06 |
[G-CON 2024] 게임 커머스 전략: 글로벌 매출 증대를 위한 지름길 (0)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