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사 소개
- SK C&C 통신컨설팅팀 선임컨설턴트
- NC Soft 글로벌사업관리팀 파트장
- Red Duck 사업개발실장
- Red Duck Mobile 사업실장
- (현) 엑솔라 아시아태평양 사업총괄 부사장
세션개요
- 비디오 게임 커머스: 수익 극대화를 위한 전략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글로벌 게임 시장에서 많은 퍼블리셔들과 개발사들은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그리고 안정적으로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을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발표 세션에서는 이러한 고민에 대한 해결책으로써 각자에 맞는 커머스 파트너를 선정하는 방법, 판매 유통채널 다각화 방법 그리고 글로벌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여러 방법들을 아우르는 D2C 게임 커머스 전략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세션내용
- 비디오 게임 커머스에서 수익 극대화를 위한 최적화 요소 3가지
- 글로벌 로컬 결제
- 게임 유저에게 직접 판매 (D2C)
- 유통 전략 다각화
- Payment Service Provider (PSP)와 Merchant of Record (MOR)는 역할이 다르다. 단순 결제 대행과 판매 대행의 차이.
- PSP, Payment Gateway (PG)는 단순 결제만 대행.
- MOR은 심의, GDPR, 개인정보 보호, 세금 등의 요소도 함께 관리
- 현지 로컬 결제 수단 확보가 중요
- 내가 잘 쓰고 있는 결제 수단의 제공은 “살까 말까” 상황에서 즉흥적으로 결제를 선택할 확률을 높인다.
- 해외 로컬 결제 파트너 확보 시 특정 결제 수단에 프로모션 혹은 리워드를 제공하는 형태의 마케팅도 가능.
QnA
1. 모바일 게임 빌드를 스토어가 아닌 별도의 방법으로 유저들에게 제공한 다음 그 빌드를 통해서만 결제가 가능한건가요? 아니면 양대 마켓 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았어도 해당 외부 결제 서비스를 사용 가능한건가요? | 1. 엑솔라의 경우 두 가지 모두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apk 파일을 배포하는 형태의 경우는 빌드 관리의 어려움과 빌드 유출 등의 위험 요소 때문에 개발사 측에서 선호하지는 않는 것 같고, 웹샵의 형태로 UID만 넣어서 인증 매칭 시키는 방식이 가장 심플했던 것 같다. |
2.(제가 이해를 못했을 수도 있는데) 구글 스토어 기준으로 결제 수수료를 26% 받으면 추가 MOR 도입 시 수수료가 더 커지는 꼴이 아닌가요? | 2.이해하신 게 맞습니다. 구글 스토어가 원래 30% 수수료를 가져가고, 제 3자 결제 시에는 4% 인하한 26% 수수료를 받게 되는데, 대부분 MOR은 10%, 엑솔라의 경우 5% 수수료만 추가해도 31%가 되니 그냥 구글 sdk만 사용하는게 이득인게 계산 상 맞습니다. 그러나 원스토어의 경우 제 3자 결제 사용 시에는 5% 수수료만 받기 때문에 10% 수수료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
코멘트
- 게임계 트렌드라고 짚어주었던 Web shop 형태의 결제에 대해서 도입할 가능성, 도입할 경우 관련 QA, CS, 현지화를 어떻게 반영할 수 있을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반응형
'SkaDi >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G-CON 2024] 재도약의 여정 - 사이버펑크 2077 개선을 위한 CD 프로젝트 레드의 기술 지원 데이터와 인사이트 활용 방법 (3) | 2025.03.17 |
---|---|
[G-CON 2024] 소울라이크 장르 열풍에 관하여 논하다 (1) | 2025.03.06 |
[G-CON 2024] Thwips and Hugs: 마블 스파이더맨 2의 애니메이션 이야기 (3) | 2025.03.04 |
[G-CON 2024] 라이브 게임 서비스하듯이 신규 게임 개발하기 (1) | 2025.03.03 |
[CEDEC 2022] 캐릭터 게임에서 요구되는 UI의 특성과 대규모 현지화 대응 (0) | 2025.02.28 |